광고 배너 이미지

복종별 올해 사업 계획 조명 - 남성복
성장 정체 극복이 관건… 투자 대신 효율 집중

발행 2017년 12월 28일

임경량기자 , lkr@apparelnews.co.kr

남성복은 올해 한치 앞도 예상하기 힘든 시장 흐름으로 ‘안정’이라는 키워드에 맞춰 브랜드별 사업계획을 잡고 있다.


대내외 환경이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선제적인 투자나 신규 사업 개척 등 과감한 의사결정은 당분간 쉽지 않아 공격적인 경영 보다는 다소 보수적인 경영에 무게가 실렸다.


가치 소비 중심의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소비 트렌드를 예측하기가 점차 어려워서다.


가파른 임가공비 상승도 올 한해 사업계획의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구매 비용 절감이 올 한해 사업실적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 속에서 둔화된 수익성과 성장세를 회복하고, 성장이 정체된 사업의 효율을 개선해야 되면서 기업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는 것.

 

이렇다보니 새해 설계가 본격화 된 초반부터 남성복 시장은 녹록치 않을 조짐이다.


다만 새로운 유통채널 진입을 확대하는 브랜드는 공격적인 투자로 높은 매출 신장 계획을 잡고 있으나 경기 상황에 따라 스팟 비중을 유동적으로 운용해 변화에 대비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지난해부터 업계는 시장 위기를 감지해 긴축 경영과 유통 다이어트로 리스크를 줄이는 시도를 시작했다. 따라서 올 한해는 업계가 술렁일만한 사업 중단 소식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신사복 - 점유율 수성 주력


대형사와 중견업체 모두 큰 차이를 띄지 않고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을 유지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삼성물산 패션부문도 대부분 보합내지 한 자릿수 매출 신장 계획을 세우고 호재 없는 시장에서 안정화를 추구하고 있다.


지난해 1천억원 매출을 달성한 ‘로가디스’는 오프라인 점포 확장의 한계를 넘기 위해 온라인 사업 확장과 상품 다각화로 성장 추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올해는 백화점이 운영하는 프리미엄 아울렛 입점을 확대하는 등 전 방위 유통 확장을 계획 중이다.


‘갤럭시’와 ‘빨질레리’는 올해 각각 소폭 신장을 목표로 잡고 고급화 전략을 이어간다.


‘갤럭시’는 포멀 슈트를 중심으로 더욱 고급화에 매진하며 이 분야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며, ‘빨질레리’는 캐주얼 확대로 차이는 뒀다.


LF 역시 크게 매출 신장을 기대하는 상황은 아니다. ‘닥스’와 ‘마에스트로’ 모두 각각 전년에 달성하지 못한 실적 목표에 재도전하는 수준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도 신사복 시장에서는 다소 보수적인 계획을 세웠다. 신사복인 ‘캠브리지멤버스’는 현상유지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중소업체인 SG세계물산과 원풍물산은 올해 백화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아울렛 유통을 확대해 실적 개선을 시도한다.


남성캐주얼 - 상품 확장으로 성장 한계 돌파


캐주얼 업계도 무난히 달성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수립했다. 점포가 이미 포화상태에 도달한 곳이 많아 두 자릿수 외형 성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상품 라인 개발을 통한 분위기 환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다만 이 시장에서 유통 확장 가능성이 여전히 남은 후발 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TD캐주얼은 삼성물산이 남성 캐주얼 단일 복종에서 2,000억원 돌파 카드를 꺼냈다.


‘헤지스’도 ‘빈폴’의 아성에 도전하는 사업 목표를 세웠다. 매출은 1,800억원에 그치지만 협업라인 개발 등 폭넓은 영업 활동이 예고된 가운데 정상 매출을 높이는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신상품 판매 금액에서는 ‘빈폴’을 넘어서겠다는 것.


동일드방레는 올해 ‘라코스테’의 슈즈와 스포츠 라인 확장으로 가장 공격적인 모습이다. 여성복에 이어 슈즈와 스포츠 전개를 계기로 토털 브랜드로 확실히 올라선다는 전략이다.


지난해부터 다시 매출 상승세를 타면서 영업력 강화에 나선 것이다.


가두 유통에서는 던필드알파가 ‘크로커다일’의 1,600억원, 평안엘앤씨의 ‘피에이티’가 1,750억원을 각각 새 목표로 내놨다.


타운캐주얼군에서는 런던포그(앤에스런던포그), 씨저스(동양씨저스), 피에르가르뎅(던필드알파) 등의 각 유통채널에 따라 외형 매출이 소폭 신장하는 사업 계획을 짜는데 그쳤다.

캐릭터·컨템포러리캐주얼 - 외형 중심에서 이익 개선으로 전환


그나마 수년째 남성복 시장 확대를 주도했던 트렌디캐주얼 업계의 성장 동력이 멈췄다.


지난해 29개 주요 브랜드 가운데 신장한 곳은 5곳에 그쳤고, 목표를 달성한 곳은 고작 단 2곳에 불과했다. 매출이 증가하는 데는 중소형 브랜드가 점포수를 늘리면서 상승한 것으로, 기존 유통 대비 실적은 현저히 떨어지는 수준이다.


올해도 외형 매출이 적은 중소형 브랜드의 경우 두 자릿수에 달하는 성장 목표를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00억원대 외형을 넘어선 상당수 업체들은 전년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신장 계획을 마련했고 컨템포러리 캐주얼도 숨고르기에 들어간다.


백화점 트렌디캐주얼 시장에서 규모가 가장 큰 ‘앤드지’, ‘지이크’가 올해 각각 4%, 10%의 신장 계획을 세웠다.


컨템포러리 군도 올해 백화점 출점이 없다보니, 기존 점포 중심의 효율 경영에 들어간다.


진입 유통이 제한된 복종 특성상 메머드급 점포 개장이 없는 올해 높은 신장 목표를 잡기에는 중고가 시장의 경기 회복이 불확실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