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배너 이미지

[기자의 창] 코로나 파도에 실려 온 ‘패션 시장의 세대교체’

발행 2021년 04월 12일

오경천기자 , okc@apparelnews.co.kr

오경천 기자

 

 

[어패럴뉴스 오경천 기자] 최근 몇 년 사이 패션 유통의 1번지, 백화점의 MD에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패션의 품격을 상징했던 정장 시장이 속수무책 무너졌고, 이를 지탱해 온 중가 시장은 풍비박산이 났다. 또 영업력으로 버텨 온 백화점 터줏대감들도 서서히 자리를 빼앗겼다.


그들의 자리는 명품과 신진들이 꿰차고 있다. 특히 명품은 백화점 유통의 ‘핵’으로 부상했다. 코로나로 패션 업계가 휘청거렸던 지난해에도 명품 시장은 호황이었다. 코로나 영향이 가장 컸던 작년 3~4월에도 백화점 명품 매장에는 대기행렬이 끊이질 않았다.


신세계 강남점은 연간 2조 매출 중 명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40%, 8,000억 원에 달한다. 롯데 본점이나 잠실점, 현대 무역센터점이나 판교점 등 A급 점포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백화점 내 명품의 영역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 구찌 등은 최근 몇 년 사이 남성, 여성, 잡화 등 카테고리를 세분화해 백화점 1개 점포에 2~3개씩 매장을 오픈하기 시작했다. 어패럴에 대한 소비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명품들의 세 확장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의 흐름이 ‘고가’와 ‘저가’로 더욱 분명하게 갈리고 있다. 명품이거나 ‘가성비’ 좋은 저가 제품들로 양분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이슈가 됐던 신세계백화점 VVIP들의 소비 흐름은 이를 증명한다.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2019년만 해도 연간 1억2,000만 원을 쓰면 최상위 등급인 ‘트리니티’에 선정됐다. 하지만 작년에는 1억6,000만 원을 소비한 고객도 ‘트리니티’에 들지 못했다. 트리니티는 연간 가장 많이 소비한 999명의 고객을 선정해 프리미엄 혜택을 제공하는 VVIP 서비스다. 롯데와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연간 1억 원 이상 소비한 고객 수가 전년 대비 각각 24%, 10% 늘었다고 한다. 


저가의 가성비 시장도 지속적으로 팽창 중이다. 불매운동이 일어나기 전만 해도 ‘유니클로’는 국내 시장에서 폭풍 성장했다. ‘국민 가게’로 불려 온 ‘다이소’는 브레이크 없이 성장 중이다. 온라인, 홈쇼핑 등의 성장도 마찬가지다. 소비의 양극화는, 소비자들의 구매 기준이 더욱 까다로워졌으며, ‘진짜’가 아니면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100~200만 원 선의 ‘준 명품’ 시장의 팽창을 전망하고 있다. 명품 중에서도 ‘가성비’가 좋은 브랜드의 선호가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일본 등 해외에서는 준 명품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제 국내 패션 업체들도 브랜딩 전략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로 브랜드 가치를 높이거나, 생산·유통 구조의 혁신을 통해 ‘가성비’ 좋은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어설픈 방식의 브랜딩으로는 과거보다 더 빨리 외면받게 될 것이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