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배너 이미지

[양지민] 힘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표준계약서’의 힘
양지민의 ‘법대로 톡톡’

발행 2020년 03월 19일

어패럴뉴스 , appnews@apparelnews.co.kr

 

양지민 변호사
양지민 변호사

 

현장에서 표준계약서 보급은 실제로 매우 중요하다. 시작부터 힘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 계약을 체결할 때도 그 불균형은 계속된다. 그 계약 안에도 불균형이 담기게 되고 결국 이것은 ‘갑질’로 되풀이될 가능성이 크다. 

 

많은 패션, 의류 업계 대리점주들은 본사의 일명 ‘갑질’ 행위가 오랜 관행처럼 여겨져 왔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물론 ‘갑질’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겠지만, 힘의 불균형에서 오는 어쩔 수 없는 불공정 관행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본다면 일리 있는 지적으로 들린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지난해 12월 ‘대리점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이는 본사와 대리점 간 거래에 있어 공정한 질서를 확립하고자 만들어졌다. 그러나 법률 시행 이후 실제 현장의 상황이 달라졌는지를 보면, 아직까지는 큰 변화는 없는 듯하다. 


그래서인지 공정위는 대리점법의 실효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올 해 안으로 마련하고, 패션, 의류업계에서의 표준계약서도 조속히 마련해 보급할 예정이다. 


현장에서 표준계약서 보급은 실제로 매우 중요하다. 시작부터 힘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 계약을 체결할 때도 그 불균형은 계속된다. 그 계약 안에도 불균형이 담기게 되고 결국 이것은 ‘갑질’로 되풀이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표준계약서가 존재하고 널리 보급된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일례로 엔터테인먼트 업계에도 소속사와 아티스트 간 힘의 불균형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불균형은 표준계약서 보급으로 훨씬 나아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물론 이렇게 업계 전반에 표준계약서 사용이 현실화되려면 시간은 좀 걸릴 수 있다. 하지만 공정위까지 발 벗고 나서 표준계약서 사용을 독려한다면 그 시간은 크게 단축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난해 한 기업이 사업 철수를 하면서 대리점주에게 일정 기간을 주고 기간 내 매장 운영을 종료하지 않으면 보상금을 주지 않겠다고 몰아세웠던 일이 있었다. 사실 생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대리점 입장에서는 마음대로 문을 닫는 것도 쉽지 않다. 


그러나 대리점주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어쩔 수 없이 본사의 제안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이 벌어질 수 있었던 것은 계약서 자체도 허술했을 뿐만 아니라 대리점 입장에서는 이렇다 할 계약서 표본도 없어 본사가 마련해 놓은 계약서에 사인만 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불공정한 사례들 역시 표준계약서가 보급되면 그 발생 빈도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패션업계 역시 이러한 공정위의 행보를 반기는 눈치다. 패션업계는 공정위가 표준계약서 등을 마련하면 이에 맞춰 대리점주와 상생하겠다는 입장이다. 모든 것이 관행이라는 이름하에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그 익숙한 관행을 없애려면 당연히 노력이 들겠지만, 현재 상황을 보면 충분히 긍정적 결과를 기대해볼 만한 듯하다. 


또 실제 그렇게 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공정위의 실태 조사 역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